베트남 비자 어떻게 발급 받을까? (비자 종류 및 발급 비용 소개)

베트남에 유학, 체류, 관광 등의 목적으로 방문객이 늘어나면서 베트남 비자가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되었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사람은 베트남에 최대 14박 15일까지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꼭 15일 이내에 한국으로의 귀국 항공권이나 베트남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비행기 표가 있어야만 합니다.

베트남에서 출국하는 비행기 표가 없는 경우에는 아예 한국 항공사 측에 출국을 안 시킬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꼭 출국하겠다고 하면 서약서 등을 작성해야 합니다.

반대로 베트남에 도착해서도 입국을 거부당할 확률이 높습니다.

베트남에 15일 이내의 단기 여행을 오시는 분은 귀국티켓을 가지고 있다면 아무 문제없이 입국할 수 있습니다. 무비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베트남 무비자 체류기간 완벽 설명 참고해주세요.

반면 15일 이상의 장기 여행, 체류할 때에는 베트남 비자를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이번에는 베트남 비자를 자세하게 소개하도록 하도록 하겠습니다.

베트남 비자 사진
베트남 비자, 발급 받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베트남의 비자 종류

2015년에 개정된 베트남 비자에 따라 현재 총 20종류의 비자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정부 공무원, 기자, 회사에서의 출장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평범한 개인 기준으로 필요한 비자를 아래와 같습니다.

비자 종류설명최대 비자 기간
DT외국인 투자자, 변호사 등5년
DN베트남 기업을 방문하는 외국인 (상용비자)1년
DL외국인 관광 비자3개월
DH3베트남 어학연수, 유학 등1년
TT베트남 배우자 또는 자녀1년
VR베트남 친적 방문 등6개월

베트남에서 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초청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한국 회사의 베트남 지점이나, 현지 베트남의 회사에 입사하거나, 친척이 초청해주지 않는 경우에 개인이 취득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비자 대행 회사에서 초청장을 발급해주는 방식으로 비자를 발급받게 됩니다.

한국에서의 베트남 비자 발급 방법은?

한국에서 베트남 비자 만드는 아래의 3가지 방법을 통해 비자를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 대사관에 직접 방문.
  • 비자 대행 사이트에 요청.
  • 베트남 전자비자 (E-Visa)를 직접 신청.

베트남 대사관 직접 방문 하는 방법

Đại Sứ Quán Việt Nam tại Hàn Quốc
주한 베트남 대사관의 전경 사진 출처 : visana.vn

베트남 대사관을 직접 방문하는 방법은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문제는 비자 업무는 ‘영사관’이 아닌 ‘대사관’에서만 수행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편 등의 접수가 불가능하고 꼭 직접 방문을 해야만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서울에 거주하시는 분 이외에는 이 방법을 이용하기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직접 방문해서 비자를 신청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데, 아래의 준비물 등을 준비해 대사관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 6개월 이상 유효기간이 남은 여권
  • 베트남 비자 신청서 (대사관 내)
  • 3X4 증명사진 2장
  • 항공권

이 대사관 방문의 가장 큰 단점은 아마 “시간”과 “귀찮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기관이 아닌 베트남의 정부기관임으로 모든 문서는 영어나 베트남어로 작성되어야만 합니다. 물론 작성하는 서류에는 베트남어와 한글로 표기되어 있기때문에 작성만 해당 언어로 하시면 됩니다.

대사관에 가서도 꽤 기다려야 하며, 비자도 바로 발급이 되는 게 아니라 신청을 하고 심사, 발급까지 최소 며칠은 기다려야 합니다. 게다가 수령을 하려 대사관을 또다시 방문해야 되니 시간이 많이 듭니다.

즉, 이 방법으로 비자를 받기가 어렵지는 않으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우 귀찮습니다.

그리고 주한 베트남 대사관에서 담당하는 비자 업무는 아래에 설명할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비자는 전혀 관계가 없기때문에 취급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관광비자’를 위해서는 이 방법을 이용하는걸 추천하지 않습니다.

방문하기 전에 꼭 미리 필요 서류를 다시 한번 문의하는게 좋습니다.

장소명주한 베트남 대사관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
비자 신청 시간09:00 ~ 12:00
위치베트남 대사관 B3 사무실
휴무일한국과 베트남의 공휴일
비자 관련 전화번호02-725-2487
비자 관련 이메일vnembassyseoul@hanmail.net

베트남 비자 대행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지방에 살거나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국내 베트남 비자 대행 사이트를 이용해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비자 대행 사이트에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 비자를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베트남 비자를 수령하는 방법.
  • 한국에서 베트남 비자를 받을 수 있는 서류만 받고, 현지 공항에서 베트남 도착 비자를 수령하는 방법.

각각 비자 발급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베트남 비자를 수령하는 방식은 베트남에 도착해서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어디에서든 바로 입국 심사를 통과하시면 됩니다. 단지 가격이 도착비자에 비해 비쌉니다.

이 한국에서 수령하는 방식은 랜딩비자와 비교하자면 3개월 기준으로 약 3 ~ 4배 가량은 더 비쌉니다.

베트남 공항에서 도착 비자(랜딩 비자)를 받을 경우에는 우선 비자를 받을 수 있는 공항이 정해져 있습니다. 게다가 전 세계에서 방문하는 수많은 외국인들이 공항에서 비자 발급을 기다린다고 생각해보세요.

최악의 경우에는 몇 시간은 기다릴 때도 있습니다.

베트남 도착 비자(랜딩 비자)를 받을 수 있는 공항 목록

  • 하노이 – 노이바이 국제공항
  • 하이퐁 – 캣 비 국제공항
  • 다낭 – 다낭 국제공항
  • 나트랑 – 캠란 국제 공항
  • 호치민 – 탄손녓 국제공항

대행업체를 통한 비자 발급은 딱히 어려운 게 없습니다. 비자 발급에 필요한 서류를 보내시기만 하면 됩니다. 대부분은 여권 복사본과 간략한 인적사항이 적힌 서류 1부로 구성됩니다.

우리나라의 비자 발급 대행 사이트들의 가격은 대부분 비슷비슷합니다.

베트남 비자 발급 대행 시 주의사항

  • 급하게 만들수록 비자의 가격이 비쌉니다. 적어도 몇 주 전에 신청하시는게 좋습니다.
  • 한국에서 수령한 베트남 비자는 베트남에서 비자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베트남 도착 비자 (랜딩 비자)에 관하여

중요 : 현재 코로나로 인해 도착 비자 발행이 불가능합니다. 아래에 소개할 1개월 단수 전자 비자 (E-VISA)만 이용 가능합니다.
베트남 정부의 비자 관련 정책이 아주 자주 변경됨으로, 도착 비자를 신청하려는 업체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베트남에 장기 체류를 원하시는 대부분의 사람은 이 랜딩 비자를 이용하셔서 비자를 받으실 겁니다. 그래서 랜딩비자에 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인터넷에서는 베트남 비자에 관해 검색해보신다면 랜딩 비자를 발급해주는 수많은 회사를 손쉽게 찾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들은 크게 한국회사와 외국 회사로 나누어 지는데, 베트남 비자에 관련된 업무는 베트남의 법률에따라 오로지 베트남 회사에서만 처리가능합니다.

즉, 한국회사에 의뢰하여도 결국 고객 > 한국 회사 > 베트남 현지의 발급 대행 회사 > 한국 회사 > 고객의 순서로 비자를 발급받게 됩니다.

비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발급됩니다.

  1. 베트남 비자 발급 의뢰
  2. 여권 스캔본 + 인적사항 등의 서류를 대행 업체에 제출
  3. 대행 업체에서 랜딩 비자에 관련된 서류를 준비해 고객에게 제공.
  4. 베트남 현지 공항의 비자 발급 부스에서 서류와 함께 사진, 발급비 지급
  5. 비자 수령
  6. 베트남 입국

순서는 다 똑같습니다만, 한국 회사를 통해 비자를 발급받으면 조금 더 비싸므로, 저렴하게 비자를 발급받으시고자 하신다면 외국 회사를 찾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워낙 많이 방문하는 만큼 베트남 회사들도 한국어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회사가 많습니다.

혹시 어느 정도의 영어가 가능하시다면 영어로 검색해보셔서 의뢰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미지 333
국내 업체에 의뢰 시, 이렇게 설명서와 함께 보내줍니다.

베트남 공항에는 무료 WIFI가 안됩니다. 물론 가능한 공항도 있습니다만, 입국심사 이전에 사용이 가능한 곳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 미리 작성할 내용을 줍니해가시거나, 업체에서 보내준 서류가 있다면 적어가시면 됩니다.

혹시 사진을 깜빡하셨다고 해도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5달러 정도면 바로 사진 촬영이 가능하며, 대부분 랜딩 비자를 신청하는 곳 주변에 사진기사가 있습니다.

베트남 도착비자 발급 비용 (2023년)

베트남은 비자의 발급 가격이 자주 변동됩니다. 매 년 비용이 상승하고 있는데, 비자 발급을 의뢰하실 때 정확한 가격에 대해 문의하셔야 합니다.

랜딩 비자 발급 비용을 공항에서 내야 하는 비용을 제외하고 안내하거나 매우 헷갈리게 안내하는 업체도 있기 때문입니다.

랜딩비자는 반드시 베트남 현지 공항의 비자 발급 부스에서 돈을 내고 비자 도장(스탬프)을 받아야 됩니다.

3개월 단수 비자(싱글 비자)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현재 비자 발급은 55달러가 필요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 발급 대행업체 수수료 : 30달러
  • 공항에서 비자 도장 비용 : 25달러

비자는 기간과 단수, 복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납니다. 당연하지만 비자의 기간이 짧을수록, 단수의 경우에 가장 저렴합니다.

비자 도장 비용은 절약할 방법이 없으니, 가급적 수수료가 저렴한 업체를 선택하세요.

다음은 발급 대행업체의 수수료를 제외한, 베트남 공항의 비자 도장 가격이며 오로지 미국 달러 혹은 베트남 동으로만 현금 지불해야됩니다. 카드는 안됩니다.

비자 종류비자 유효 기간도장 가격도장 가격 (원)
싱글 (단수)1개월25달러약 31,000원
멀티 (복수)1개월50달러약 62,000원
싱글 (단수)3개월25달러약 31,000원
멀티 (복수)3개월50달러약 62,000원
멀티 (복수)6개월95달러약 12만 원
멀티 (복수)12개월135달러약 16만 원

도착 비자의 연장

도착 비자는 처음 발급받은 비자 개월 수 만큼 2회에 한해 베트남 현지에서 비자의 연장이 가능합니다.

예를들면 3개월 단수 비자를 받아 왔을 경우, 연장하게 되면 다시 3개월 연장이 됩니다. 1개월만 연장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만약 베트남에 1년을 체류하고 싶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3개월 관광 도착비자를 발급 > 현지에서 2번 연장 (9개월) > 캄보디아 등 해외 출국 후 또다시 관광비자 발급 (3개월) > 연장 …

대부분의 현지 여행사에서는 비자 업무도 함께 수행하고 있기때문에 연장에 관해서는 현지 여행사에 문의하시는게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베트남 공항에서 도착 비자를 받는데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정해진 시간이 없습니다. 공항마다 천차 만별이며, 그 시간 대에 도착 비자를 신청한 외국인의 수에 따라서 크게 차이납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최소 30분 ~ 최대 2시간은 소요되었습니다.

만약, 2시간 정도 지나서 나오면 수하물 벨트에 자신의 수화물이 없을 겁니다. 그럴 경우에는 걱정하지 마시고 직원에게 물어 공항의 수하물 보관소를 방문하세요.

베트남 전자비자 (E-VISA)

베트남 전자비자 (E-VISA)는 2017년 2월부터 시범 운영이 시작된 온라인으로 취득 가능한 새로운 비자입니다.

별다른 대행업체를 통할 필요 없이 본인이 직접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는데요, 최대 30일까지 베트남에 체류할 수 있습니다.

2015년 비자 법이 개정되면서 베트남의 관광 업계가 매우 큰 폭으로 실적 하락을 겪었습니다. 별다른 기술과 수출품이 없는 베트남에서는 관광객 유치가 국가의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후에 다시 비자 법을 완화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는데요, 그래서 맞춰 나온 비자가 이 E-VISA 입니다.

이미지 332
베트남 전자비자는 15일 ~ 30일 동안 체류 시 최고의 선택지입니다.

베트남 전자비자 발급조건

전자비자는 아래와 같이 발급 조건이 필요합니다만, 사실 특별한 문제가 없으시면 거의 다 발급이 가능합니다.

  1. 베트남 입국 시 남은 기간 6개월 이상의 여권을 소유한 자
  2. 아래와 같은 입국 금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자
  3. 보호자 동반 없는 14세 미만의 어린이
  4. 입출국 및 거주 관련 문서 위조나 허위 신고를 한 사람
  5. 정신질환 또는 공중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감염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6. 베트남에서 추방 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7. 베트남 강제 퇴거 결정 발효일부터 6개월 이상이 지나지 않은 사람
  8. 기타 베트남에서 입국 금지를 받은 사람

베트남 전자비자 발급 방법

베트남 전자비자는 전자비자 홈페이지에서 발급할 수 있는데, 현재 영어와 베트남어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우 간단하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미지로 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아래의 순서만 따라 하시면 누구나 쉽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1. 미리 4X6cm 사이즈의 여권용 사진과 여권 데이터 페이지의 스캔본을 준비
  2. 전자비자 발급 홈페이지를 방문
  3. 내용을 확인 후 “Confirmation of reading carefully instructions and having completed application” 약관 동의에 체크 후 NEXT를 클릭
  4. 스캔 한 사진을 업로드 후 세부 내용 작성
  5. “Review application form”을 클릭해 작성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6. 정확하다면 OK 버튼을 클릭 후 지불 페이지로 이동.
  7. 다시한번 최종 확인 후 “Pay E-visa fee at Payoo payment gateway (accepted by Vietnam Immigration Department)” 약관 동의에 체크 후 “Pay e-visa fee”를 선택.
  8. 신용카드 정보와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 후 결제
  9. 이메일 혹은 비자 승인 확인을 통해 전자비자 수령

비자는 단수(싱글) 비자로 발급되며, 발급받는데 필요한 비용은 25달러. 약 3 ~ 5 영업일이 소요됩니다. 이후에는 비자를 인쇄해 여권과 함께 입국심사 시 제출하시면 됩니다.

혼자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만, 절차가 어려우신 분은 비자 발급 업체에서 약 6,000원 선에서 대행으로 해주기도 합니다.

E-VISA의 경우에는 베트남 현지에서의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무조건 30일 이내에만 체류가 가능합니다.

그러니 이 비자를 발급 받아 베트남에 입국 후, 30일 이후에도 체류하기 위해서는 베트남에서 가까운 캄보디아 등으로 출국 후, 캄보디아에서 베트남 비자를 발급 받아서 입국해야만 됩니다.

직접 캄보디아에 가서 베트남 비자를 만드는 게 아니라, 베트남 현지의 비자 대행 업체에 의뢰하면 서류 준비 등을 전부 다 알아서 해주고 단지 해당 비자를 취득하기 위해서 캄보디아로 이동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베트남 전자비자를 사용해 입국이 가능한 장소

위의 도착비자와는 다르게 전자비자는 더 많은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2019년 현재 총 33곳의 국제공항과 항만 그리고 국경 검문소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국제공항 8곳

  • 하노이 – 노이바이 국제공항
  • 호치민 – 떤선녓 국제공항
  • 다낭 – 다낭 국제공항
  • 후에 – 후에 국제공항
  • 나트랑 – 캠란 국제공항
  • 하이퐁 – 깟비 국제공항
  • 껀터 – 껀터 국제공항
  • 푸꿕 – 푸꿕 국제공항

육로를 통한 국경 검문소 16곳 

  • Ha Tien 국경 검문소
  • Moc Bai 국경 검문소
  • Lao Bao 국경 검문소
  • Nam Can 국경 검문소
  • Lao Cai 국경 검문소
  • 기타 11개소

국제항만 9곳 

  • 호치민 – 사이공 항
  • 다낭 – 다낭 항
  • 뀌년 – 뀌년 항
  • 하이퐁 – 하이퐁 항
  • 붕따우 – 붕따우 항
  • 꽝닌 – 혼가이 항
  • 나트랑 – 나트랑 항

해외에 거주하게 되면 비자만큼 신경 쓰이는 일이 없습니다. 다양한 업체를 비교해보시고, 평균 가격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업체가 있다면 되도록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에 이어서 베트남 입국신고서, 세관, 입국심사 종합 가이드 글을 확인해보세요. 입국 시 자칫 당황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자 없이는 30일 이내에 재입국이 불가능한가요?

아뇨. 가능합니다. 해당 규정은 2019년 11월 25일 발의된 51/2019/QH14 법률로 인해 폐지되었습니다.

만약 15일의 무비자 기간을 채웠다면, 인접 국가 (캄보디아) 등 베트남에서 출국을 하면 다시 재입국이 가능하며, 15일의 무비자 기간이 새롭게 적용됩니다.

코로나 시기에 베트남에 장기 체류할 방법은 없나요?

있습니다. 베트남은 돈으로 해결 못하는 문제가 없습니다. 비자 대행 업체는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내고, 비자를 발급받게 해줍니다.

예를 들면 관광 비자가 막히면 , 상용 비자 (비즈니스 비자)를 발급 해주는 방식으로요.

문제는 비자의 가격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관광 비자는 베트남에서 받을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비자이자, 장기 체류가 가능한 가성비가 뛰어난 비자입니다.

그러나 다른 비자를 받게되는 순간 가격은 몇 배가 뛰게 됩니다.

그러니 귀찮음을 감수하고 1개월 단위로 베트남에서 타국으로 출국 (캄보디아)해 베트남에 재입국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비싼 비자를 대행 업체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2023.01.17 7:17:01

이 게시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을 선택해 기사를 평가해주세요!

게시글이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이 게시글이 개선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어떤 점이 부족하다고 느끼셨나요?

이 게시글의 정보가 잘못되었거나 오래되었나요? 지금 제보해주세요!

“베트남 비자 어떻게 발급 받을까? (비자 종류 및 발급 비용 소개)”의 2개의 댓글

  1. 전자비자로 12/11 ~ 14 까지 하노이를 다녀왔습니다.
    12/23 다시 재입국해야 하는데…
    비자로 다녀온 거면 한 달이내에도 무비자로 재입국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 말이 맞나요 ???

  2. 국내에서 전자 비자 발급 시, 베트남 내에서 비자 연장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최대 몇일까지 가능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달기

댓글 정책 : 저희 기사를 읽고 의견 및 피드백을 제공해 주시는것에 대해 정말 감사합니다. 모든 댓글은 수동으로 검토되며, 스팸으로 간주되거나 홍보를 위한 댓글은 삭제됩니다.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으며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Scroll to Top

잘못된 정보를 제보해주세요!

이 게시글의 정보가 최신이 아니거나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면, 우리에게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은 베트남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